[Retrospective]싸피 공통프로젝트 회고
3줄 요약
keep 팀 회의 이후 각자 이해한 것들이 동일한지 확인후 동기화 하기, 스크럼, 회고 하기
problem 역할(기능)을 명확하게 나누지 않고 프로젝트를 진행, 문서화 하지 않음
try 하나의 기능을 제대로 이해하고 개발하기, 시간을 투자해서 컨벤션 정하기
약해지지마
개요
개발기간
2023.07.04 ~ 2023.08.18 (7주)
인원
6명
기획의도
IT를 활용하여 마약의 유해성을 깨닫게 하는 체험형 마약 플랫폼을 만들고자 했다.
주요기능
- (학생, 임산부, 청년 3가지 스토리의) 시뮬레이션
- 마약 취약성 테스트
- 마약전후 AI 사진 생성
- 컨텐츠 카드뉴스
- 챗봇
개발후기
Keep
- 먼저, 기획과 설계 기간에 아이디어를 쥐어짜내느라 너무 힘들었다. 그 과정에서 회의를 많이 했고 각자 이해하는 것들이 다르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예를 들어 한 아이디어에 대하여 나는 이렇게 이해했는데 다른 팀원은 저렇게 이해하고 있었던 것이다. 그래서 회의를 하고 꼭 동기화하는 과정을 가지게 되었다.
- 문제가 생기면 그 문제를 함께 고민하고 해결해주었다. 어떤 문제가 발생하면 그 문제와 관련된 지식을 가지고 있는 팀원이 적극적으로 도와줘서 빨리 해결할 수 있었다.
- 매일매일 스탠딩 스크럼을 진행하고 회고를 작성한 점이 팀장으로서 일정관리하는데 편리했다.
Problem
- 팀 결성부터 힘든일이 많았던 프로젝트이다. 처음 팀장을 하기로 했던 친구가 어쩔수 없이 다른 팀으로 가게 되었고, 내가 팀장을 하게 되었다. 처음에는 걱정도 많았다. 비전공자이고 프로젝트 경험이 없었기 때문에 협업을 위해 사용해야하는 툴들도 익숙하지 않았다. 그리고 프로젝트의 아주 디테일한 부분보다 기간에 맞춰 프로젝트를 완성하게끔 하는게 나의 목표였던 것 같다.
- 다들 중형(?) 프로젝트는 처음이라 역할분담을 제대로 하지 않고 넘어같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나중에는 나도 백엔드 너도 백엔드, 나도 프론트엔드 너도 프론트엔드 느낌이 났던 기억이 있다.
- 문서화하는 것이 중요한데 다들 문서작업을 많이 하지 않았다. 트러블 슈팅이나 공부한 것들을 잘 남겨놨으면 좋았을 것 같다.
Try
- 팀원들에게 폐가 되지 않도록 툴들의 기본 기능들은 공부해야 할 것 같다. 특히 피그마가 익숙하지 않은데 자주 쓰이는 단축키 같은 것들을 공부해서 사용해봐야겠다.(고 그때 당시에 생각함)
- 역할과 기능을 명확하게 나누어서 각자 맡은 것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자!
- 문서화를 습관화 하자!!!
배운 점
- 나와 함께 했을때 시너지를 낼 수 있는 팀원들을 만나는 것은 중요하다.
- 이 프로젝트에서는 기술적으로 큰 배움이 있지는 않았던 것 같다. 어떻게 협업을 하는지, 대화하는 방법 등 프로젝트를 할 때 필요한 전반적인 의사소통 역량을 기를 수 있었다.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