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

[Network] 네트워크 참조 모델

3줄 요약
네트워크 참조 모델은 통신 과정을 계층으로 나눈 구조로, 설계와 진단을 용이하게 함
OSI 7계층과 TCP/IP 4계층이 대표적인 참조 모델로, 각각의 계층은 고유한 역할을 수행
TCP/IP 모델은 실질적인 인터넷 표준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음

💻 네트워크 시리즈

이 시리즈는 『혼자 공부하는 네트워크』 (강민철 저)
+ 인프런 강의를 기반으로 개인적으로 복습 및 정리한 기록입니다.


📌 네트워크 참조 모델이란?

네트워크에서 송수신 과정을 단계별로 나눈 계층적 구조

  • 데이터가 전송될 때 여러 단계(계층)를 거쳐 전달됨
  • 계층화를 통해 설계가 쉬워지고, 문제 진단과 해결이 용이

대표적인 참조 모델:

  • OSI 7계층
  • TCP/IP 4계층

🧱 OSI 7계층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국제표준화기구 ISO에서 제정한 표준 네트워크 계층 모델

계층 번호계층 이름 (한글)주요 역할
7응용 계층 (Application)사용자와 가장 가까운 계층, 응용 프로그램에 서비스 제공
6표현 계층 (Presentation)데이터 인코딩, 압축, 암호화
5세션 계층 (Session)세션 설정, 유지, 종료 (응용 프로그램 간 연결 관리)
4전송 계층 (Transport)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 (TCP, UDP 등)
3네트워크 계층 (Network)수신지까지의 경로 설정 (IP 주소 기반)
2데이터 링크 계층 (Data Link)오류 제어, 프레임 전달 (MAC 주소 기반 통신)
1물리 계층 (Physical)0과 1로 표현된 비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전달

🌐 TCP/IP 모델

인터넷에서 실제 사용되는 표준 프로토콜 계층 모델
OSI 모델보다 단순하고 실용적이며, 인터넷 기반 서비스의 핵심

계층 번호계층 이름OSI와의 비교주요 내용
4응용 계층 (Application)OSI 7~5계층에 해당HTTP, FTP, SMTP, DNS 등
3전송 계층 (Transport)OSI 4계층에 해당TCP (신뢰성 보장), UDP (속도 우선)
2인터넷 계층 (Internet)OSI 3계층에 해당IP 주소 기반의 라우팅
1네트워크 액세스 계층 (Network Access)OSI 2,1계층에 해당물리적 전송, MAC 주소, 프레임

💡 네트워크 액세스 계층은 링크 계층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이라고도 불림


✅ 마무리 정리

네트워크 참조 모델은 복잡한 통신 과정을 계층으로 나누어 역할을 분리하고 이해를 돕는 구조적 개념
실제로는 TCP/IP 모델이 인터넷 표준으로 널리 사용되며, OSI 7계층은 학습과 구조적 이해에 유용


📚 참고 자료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내용이 도움이 되었거나, 틀린 부분이 있다면 댓글이나 GitHub Issue로 알려주세요 😊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